2016년 9급 서울 기계일반 문제
문 1. 경도 시험 방법 중에서 압입자를 낙하시켰을 때 반발되어 튀어 올라오는 높이로 경도를 나타내는 방법은?
① 쇼어 경도(shore hardness)
② 비커스 경도(vickers hardness)
③ 로크웰 경도(rockwell hardness)
④ 브리넬 경도(brinell hardness)
문 2. 연삭 숫돌바퀴(grinding wheel)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공작물의 가공면을 미세하게 연삭 가공할 때, 사용하는 연삭 숫돌바퀴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연삭 숫돌바퀴의 3요소는 숫돌입자, 조직, 결합제이다.
② 연삭 숫돌바퀴의 조직(structure)은 결합제의 분자구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.
③ A 24 P 4 B 로 표시된 연삭 숫돌바퀴에서 P는 결합제를 나타낸 것이다.
④ C계 숫돌바퀴는 주철, 황동 등 인장강도가 작은 재료의 연삭에 적합하다.
문 3. 다음 중 전기저항 용접법이 아닌 것은?
① 프로젝션 용접
② 심 용접
③ 테르밋 용접
④ 점 용접
문 4. 헬륨(He)이나 아르곤(Ar)과 같이 고온에서 금속과 반응을 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 중에서 아크를 발생시키는 용접법인 불활성 가스 아크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용접 가능한 판의 두께 범위가 크며, 용접능률이 높다.
② 용제를 사용하여 균일한 용접을 할 수 있다.
③ 산화와 질화를 방지할 수 있다.
④ 철금속뿐만 아니라 비철금속 용접이 가능하다.
문 5. 표면경화 열처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침탄법은 저탄소강을 침탄제 속에 파묻고 가열하여 재료 표면에 탄소가 함유되도록 한다.
② 청화법은 산소 아세틸렌 불꽃으로 강의 표면만을 가열하고 중심부는 가열되지 않게 하고 급랭시키는 방법이다.
③ 질화법은 암모니아 가스 속에 강을 넣고 가열하여 강의 표면이 질소 성분을 함유하도록하여 경도를 높인다.
④ 고주파경화법은 탄소강 주위에 코일 형상을 만든 후 탄소강 표면에 와전류를 발생시킨다.
문 6. 다음 중 유압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넓은 범위의 무단변속이 가능하다.
② 과부하 방지 및 원격조정이 가능하다.
③ 작은 동력으로 대동력 전달이 가능하며 전달 응답이 빠르다.
④ 에너지 손실이 작고 소음,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.
문 7. 각종 기계의 회전이나 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기어(gear)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?
① 모듈 m=4이고 잇수 Z₁=30, Z₂=45인 한 쌍의 평기어(spur gear)에서 두 축 사이의 중심거리는 300mm이다.
② 전위기어(profile shifted gear)는 표준기어에 비해 최소 잇수를 적게 할 수 있다.
③ 간섭이 일어나는 한 쌍의 기어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기어의 언더컷(under-cut)은 압력각이 클 때 발생하기 쉽다.
④ 페이스(face)기어는 베벨기어의 축을 엇갈리게 한 것으로서, 자동차의 차동 기어장치의 감속기어로 사용된다.
문 8. 수차의 유효낙차가 15m이고 유량이 6m3/min일 때 수차의 최대 출력은 몇 마력[PS]인가? (단, 물의 비중량은 1000kgf/m3이다.)
① 20
② 50
③ 88
④ 100
문 9. 비중이 가벼운 금속부터 차례로 나열된 것은?
① 마그네슘 - 알루미늄 - 티타늄 - 니켈
② 알루미늄 - 니켈 - 티타늄 - 마그네슘
③ 알루미늄 - 마그네슘 - 티타늄 - 니켈
④ 니켈 - 마그네슘 - 알루미늄 - 티타늄
문 10. 역카르노사이클로 작동하는 냉동기의 증발기 온도가 250K, 응축기 온도가 350K일 때 냉동사이클의 성적계수는 얼마인가?
① 0.25
② 0.4
③ 2.5
④ 3.5
문 11. 다음 중 금속의 결정 구조를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?
① 알루미늄(Al) - 체심입방격자
② 금(Au) - 조밀육방격자
③ 크롬(Cr) - 체심입방격자
④ 마그네슘(Mg) - 면심입방격자
문 12. 다음 중 금속을 연성이 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?
① Al > Au > Cu > Fe > Pt
② Au > Al > Cu > Pt > Fe
③ Au > Cu > Al > Pt > Fe
④ Au > Al > Fe > Pt > Cu
문 13. 다음 중 산소-아세틸렌 용접을 통해 스테인리스강을 용접할 때, 적절한 산소와 아세틸렌의 비율(산소 : 아세틸렌)은?
① 2.0 : 1
② 1.5 : 1
③ 1.1 : 1
④ 0.9 : 1
문 14. 인장강도란 무엇인가?
① 최대 항복응력
② 최대 공칭응력
③ 최대 진응력
④ 최대 전단응력
문 16. 축(세로)방향 단면적 A의 물체에 인장하중을 가하였을 때, 인장방향 변형률이 ε이면 단면적의 변화량은? (단, 이 물체의 포아송의 비는 0.5이다.)
① εA
② 2εA
③ 3εA
④ 4εA
문 17. 기계요소 제작 시, 측정 정밀도가 우수한 삼침법(three wire method)과 오버핀법(over pin method)의 적용 범위로 옳은 것은?
① 수나사의 피치 측정 / 기어의 이두께 측정
② 수나사의 피치 측정 / 기어의 압력각 측정
③ 수나사의 유효지름 측정 / 기어의 이두께 측정
④ 수나사의 유효지름 측정 / 기어의 압력각 측정
문 18. 다음과 같은 호칭번호를 갖는 구름베어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안지름 17mm
② 초정밀급
③ 특별경하중형
④ 원통롤러형
문 19. 나무토막의 절반이 물에 잠긴 채 떠 있다. 이 나무토막에 작용하는 부력과 중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부력에 비해 중력의 크기가 더 크다.
② 중력에 비해 부력의 크기가 더 크다.
③ 부력과 중력의 크기가 같다.
④ 알 수 없다.
문 20. 웨버수(Weber number)의 정의와 표면장력의 차원으로 옳은 것은? (단, 질량 M, 길이 L, 시간 T)
① 관성력/표면장력, 표면장력=[MT⁻2]
② 점성력/표면장력, 표면장력=[MT⁻2]
③ 관성력/표면장력, 표면장력=[MLT⁻2]
④ 점성력/표면장력, 표면장력=[MLT⁻2]
댓글 없음:
댓글 쓰기